본문 바로가기
뇌 건강

우리는 왜 행복할까? The surprising science of happiness

by myretireplan 2025. 4. 18.

 

The surprising science of happiness

Dan Gilbert: The surprising science of happiness | TED Talk

 

The surprising science of happiness

Dan Gilbert, author of "Stumbling on Happiness," challenges the idea that we'll be miserable if we don't get what we want. Our "psychological immune system" lets us feel truly happy even when things don't go as planned.

www.ted.com

 

 

'결심이 필요한 순간들(러셀 로버츠)'을 읽다가 행복의 과학적 원리에 대한 댄 길버트 이야기가 나왔고 위의 TED 유튜브를 찾아보았다. 아래는 The surprising science of happiness에 대한 요약 내용이다.

 

우리가 진짜로 원하는 것: 행복에 대한 오해와 심리적 면역 체계

우울하거나 실패해도 우리는 결국 행복해진다!

 

1. 인간의 뇌, 특히 전전두엽의 발달

  • 인간의 뇌는 200만 년 전보다 약 3배 커졌으며, 그 핵심은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이라는 새로운 구조 때문이다.
  • 이 부위는 ‘경험 시뮬레이터’ 역할을 한다. 즉, 우리가 실제로 어떤 일을 겪기 전에 머릿속으로 미리 시뮬레이션해볼 수 있게 해준다.
  • 이는 다른 동물에게는 없는 인간만의 능력이다.

2. 우리는 미래의 감정을 잘못 예측한다

  • 복권에 당첨되거나 장애를 입는 경우, 사람들은 이 둘의 행복도 차이가 클 것이라고 생각한다.
  • 실제 연구 결과는 그렇지 않다. 1년 후 복권 당첨자와 하반신 마비 환자의 행복도는 거의 같다.
  • 이는 ‘영향 편향(impact bias)’ 때문이다. 즉, 우리는 어떤 사건이 우리 감정에 줄 영향력을 과대평가한다.

3. 행복은 ‘합성’될 수 있다

  • 우리는 원하던 결과를 얻지 못했을 때도 뇌가 스스로 현실을 긍정적으로 해석해 행복을 만들어낸다.
  • 이를 심리적 면역 체계(psychological immune system)라고 한다.
  • 예시: 억울한 누명으로 37년간 수감되었던 한 노인은 출소 후 “후회하지 않는다. 영광스러운 경험이었다”고 말함.

4. 사람들은 ‘합성된 행복’을 진짜로 인정하지 않는다

  • 많은 사람들은 “그건 진짜 행복이 아니잖아”라고 생각한다.
  • 하지만 실험은 이를 반박한다.
    • 기억 상실 환자들조차도 자신이 선택한 사진을 더 좋아하게 됨 → 진짜 감정의 변화가 일어난 것.

5. 선택의 자유는 오히려 행복을 방해할 수 있다

  • 하버드 실험: 학생들이 두 사진 중 하나를 선택한 후, 나중에 바꿀 수 있는 경우보다 즉시 확정된 경우 더 큰 만족감을 느낌.
  • 우리는 선택의 자유가 좋다고 생각하지만, 선택권이 많을수록 미련과 후회로 인해 행복도가 떨어질 수 있다.

6. 결론: 행복은 상황이 아니라 해석에서 온다

  • 우리는 항상 더 나은 미래를 쫓지만, 사실 우리 안에는 지금 이 순간을 긍정적으로 해석할 능력이 있다.
  • 아담 스미스의 말처럼, 미래의 상황 차이를 과대평가할 때 우리는 도덕성과 정신의 평화를 잃는다.
  • 우리의 욕망과 걱정은 때때로 지나치게 과장되어 있다.
    진짜 행복은 선택의 결과가 아니라 선택 이후의 해석에서 비롯된다.